버전관리 시작하기

  • 바탕화면에 RacingGround 폴더 생성
  • VS Code에서 RacingGround 폴더 열기, 파일 작성
  • RacingGround처럼 프로젝트 내용을 담고 있는 폴더를 프로젝트 디렉토리라고 한다.
  • Git 명령어는 프로젝트 디렉토리 안에서 실행해야 한다.

git 초기화

💡
git init →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경로
  • git으로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됨
  • RacingGround 폴더 안에 .git 폴더가 생성됨
  • .git폴더 → git으로 인해 버전 관리가 되고 있는 디렉토리
  • 기본적으로 숨김 파일 처리가 되어있음

git 사용자 정보 설정

💡
git config user.name "이름" git config user.email "이메일주소"
  • config = configuration, 설정
  •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버전을 남길 때마다 설정한 이름, 이메일이 남는다.

특정 버전 저장

  • → commit 한다고 한다.
  • 특정 버전 = commit
  • commit 하는 것은 3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작동한다.
    1. Working Directory

      -실제로 다루고 있는 RacingGround 디렉토리같은 프로젝트 디렉토리 자체를 의미

    1. Staging Area

      -특정 버전으로 관리하고 싶은 파일들을 모아두는 장소

    1. Repository

      -특정 시점의 Staging Area의 모습을 commit으로 남기면 해당 commit들이 저장되는 장소

    • Working Directory에서 작업을 하다가 commit을 하고 싶다 → commit을 남기고 싶은 모든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올린다. → commit 명령어 실행 시 해당 시점에 Staging Area에 있던 모든 파일들이 그대로 하나의 commit으로 Repository에 저장된다.

Staging Area에 올리기

💡
git add BasicCar.js README.md #특정 파일 지정 git add . #새롭게 만들어지거나 수정된 모든 파일

Commit 하기

💡
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
  • -m : 해당 commit에 대한 설명을 의미
  • 왜 Working Directory에서 바로 Repository로 저장하지 않고 중간에 Staging Area가 있는가?

    → 지금 당장 commit을 남기고 싶지 않은 파일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

Commit 기록 확인하기

💡
git log
  • commit log 또는 commit history라고 한다.
  • 각 commit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commit ID가 있다.
  • Author : commit을 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
  • 기록 확인을 끝냈으면 q 입력

Commit 비교하기

💡
git diff 커밋아이디1 커밋아이디2
  • git이 값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만 아이디를 적으면 된다. (앞 4글자 정도)

+ Recent posts